최근 유튜브 방송 '매불쇼'가 문화평론가 김갑수의 막말로 뜨거운 감자가 됐다. 김갑수가 배우 김수현의 미성년 교제 의혹을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쏟아내며 논란의 중심에 섰고, 결국 '매불쇼'는 그의 출연 코너를 영구 폐지하기로 결정했다.이 사건은 단순한 방송 실수를 넘어, 미성년자 보호와 윤리 문제를 둘러싼 뜨거운 논쟁으로 번졌다. 과연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김갑수 막말과 그 여파를 자세히 들여다보자.
김갑수 막말의 시작, "미성년 연애가 범죄냐?"
문제의 발단은 3월 17일 '매불쇼' 코너 '한낮의 매불 논란'에서였다. 김갑수는 김수현과 고(故) 김새론의 교제 의혹을 언급하며 "미성년자랑 연애했다는 게 무슨 거대한 범죄처럼 난리가 났다. 사람이 사귀는데 나이 차이가 크게 날 수도 있고, 여자 나이가 많을 수도 있지 않나. 여러 형태다"라고 주장했다. 이 발언은 성인과 미성년자의 관계를 '사랑의 다양성'으로 포장하려는 듯한 뉘앙스를 풍겼다.
더 충격적인 건 이어진 발언이었다. 김갑수는 "김새론은 아역 배우였으니 일찍 사회화됐을 가능성이 높다. 16살 때부터 남자를 사귀었고, 남자 나이는 27세였다고 한다. 나 같으면 어려서 비린내 나서 연인으로 안 여겼을 거다"라며 '비린내'라는 표현까지 썼다. 이 말은 고인을 향한 모욕으로 해석되며, 김갑수 비린내 발언은 순식간에 SNS와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궜다.
매불쇼의 빠른 수습,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논란이 커지자 '매불쇼'는 즉각 대응에 나섰다. 진행자 최욱은 3월 18일 라이브 방송 오프닝에서 고개를 숙이며 "어제 물의를 일으켜 죄송하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입을 뗐다. 그는 "사과라는 건 구체적으로 해야 마땅하지만, 논란이 증폭될 수도 있고 누군가에게 상처가 될 수도 있기에 구체적으로 사과드리지 못하는 점에 대해서도 죄송하다"고 덧붙였다.
최욱은 이어 "문제 된 해당 코너는 영구 폐지하겠다. 저 또한 앞으로 더욱 신중히 방송에 임하고 성찰하겠다"며 "다시 한번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씀 전한다.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로써 김갑수는 매불쇼에서 하차했고, '한낮의 매불 논란' 코너는 매불쇼 영구 폐쇄라는 극단적 결말을 맞았다. 방송가에 한바탕 바람이 분 셈이다.
김갑수 비린내 발언, 왜 이렇게 파장이 컸을까?
김갑수의 발언이 단순한 실언으로 끝나지 않은 이유는 그 내용이 가진 무게 때문이다. 미성년자와 성인의 교제는 법적, 도덕적 경계를 넘는 민감한 사안이다. 특히 김수현과 김새론의 경우, 유족이 "15세부터 6년간 교제했다"고 주장하며 법적 대응을 예고한 상황. 이런 맥락에서 김갑수의 "미성년 연애가 뭐가 문제냐"는 식의 발언은 공분을 사기에 충분했다.
게다가 '비린내'라는 표현은 고인을 향한 부적절한 비하로 여겨졌다. 한 네티즌은 "미성년자를 성적 대상화한 말 아니냐"고 분노했고, 또 다른 이는 "진보를 표방하면서 이런 구시대적 발상을 하다니 위선적"이라 비판했다. 김갑수 막말은 그의 과거 논란들과 엮이며 "또 저지른 김갑수"라는 이미지를 강화했다.
매불쇼 하차와 영구 폐지, 과연 해결책일까?
매불쇼의 빠른 사과와 코너 폐지는 책임 회피가 아닌 수습 의도로 보인다. 하지만 이 결정이 모두를 납득시켰다고 보긴 어렵다. 어떤 이들은 "김갑수 한 사람 때문에 괜찮은 코너가 사라졌다"며 아쉬움을 토로했고, 다른 이들은 "방송국이 김갑수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책임도 있다"고 지적했다.
개인적으로는 최욱의 진심 어린 사과가 마음에 와닿았다. "더 성찰하겠다"는 말에서 방송인으로서의 고민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갑수 막말의 여운은 쉽게 가시지 않을 것 같다. 이 사건은 우리 사회가 미성년자 문제와 표현의 자유를 어디까지 허용할지 고민하게 만드는 계기가 됐다.
실시간 경제 상황과 방송가의 파장
이 논란은 방송가에도 경제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매불쇼는 구독자층이 두터운 채널로, 코너 폐지가 수익에 타격을 줄 수 있다. 아래는 2025년 3월 19일 기준 실시간 경제 상황을 간단히 정리한 표다.
항목
상태
비고
KOSPI 지수
2,750.23 (소폭 하락)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환율 (USD/KRW)
1,320원 (약간 상승)
달러 강세 지속
유튜브 광고 단가
평균 1,500원/1,000뷰
시사 콘텐츠 수익성 유지
매불쇼 예상 손실
약 500만~1,000만 원/월
구독자 이탈 및 광고 감소 추정
소비자 물가 지수
3.2% (전월 대비 소폭 상승)
물가 상승으로 콘텐츠 소비 변화 가능
참고: 위 수치는 가상 데이터로, 실제 상황은 변동 가능성이 큼.
매불쇼 영구 폐쇄로 인한 손실은 크지 않더라도, 브랜드 이미지 하락은 장기적으로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시사 콘텐츠를 다루는 채널로서 신뢰를 잃는다면, 경쟁 채널로의 시청자 유출도 우려된다.
여운과 감성,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
솔직히 이번 사건을 보며 씁쓸함이 밀려왔다. 김갑수 비린내 발언은 농담으로 던진 말일지도 모르지만, 그 말이 누군가에겐 깊은 상처로 남았을 거라는 생각에 마음이 무겁다. 매불쇼 하차와 코너 폐지가 끝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말의 무게'를 다시 생각해보는 시작이길 바란다.
김갑수는 과연 이 사태를 어떻게 받아들일까? 그의 막말이 또 다른 논란으로 이어질지, 아니면 조용히 반성의 시간을 가질지 궁금하다. 한편으론 매불쇼가 이 위기를 딛고 더 나은 콘텐츠로 돌아오길 응원한다. 방송은 사람과 사람을 잇는 다리니까, 그 다리가 무너지지 않도록 모두가 조금씩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김갑수막말 #김갑수비린내 #매불쇼하차 #매불쇼영구폐쇄 #김수현논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